etc.

2021년 1회차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법

Jen'_' 2021. 5. 5. 20:13
반응형


공부기간: 10일
지식수준: 준전공자(컴공복전)
필기 본 날짜: 2020년 3회차(필기때 공부했던 게 많이 가물가물)

 

 시험 후기 
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가 이렇게 방대하고 어려운 시험인지 몰랐다
공부 시작하고 작년 기출부터 풀어봤지만 교재에서 거의 다 나오는 줄 알았음(수제비 실기 별로였다;)
근데 알고 보니 교재에서 절반 정도 나오고 나머지는 내가 스스로 공부해야 하는 것들이었음 ㅋㅋ
그래서 공부를 할수록 공부를 늦게 시작한 것에 땅을 치고 후회했다..........
2020년 실기 기준으로 비전공자는 한 달반 잡고 전공자는 3주는 잡아야 할거 같다

왜 2020년 실기 기준이냐고? 20201년 1차 실기는 조금 달랐기 때문이다
2021년 1차 실기가 개정 후 제일 쉬운 실기 시험이었다
시험 보는 날에 공부 못한 게 너무 많아서 거의 포기하는 마음으로 시험을 보러 갔었다
그런데 웬걸? 약술형이 1문제도 나오지 않았다 작년에 체점하느라 힘드셨나 ;
작년까지만 해도 약술형이 5문제 정도는 나오더만 왜 갑자기 1문제도 출제를 안 했는지 의문이다
2회차 준비생들은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멘붕일듯.....

그리고 2-3문제 정도 나오던 SQL문제도 1문제밖에 나오지 않았다 코딩 문제는 예상대로 4문제가 나왔다
하지만 무엇보다 전체적으로 난이도가 쉬웠다

 

 공부 방법 
1일 차: 2020년 기출
2일 차: 2019년 기출
3,4일 차: SQL문법, 프로그래밍 언어 공부, 복습
5-8일 차: 교재 1회독(정독으로 1회독을 해서 느린편)
9일 차: 2회독
10일 차: 총정리

 공부 시간 
평일 3시간, 주말 8시간

 총평 
보다시피 매우 빡센 일정이고 공부량도 조금 부족하다 여러분들은 기간을 더 길게 잡기 바람 ㅠㅠ
실기에서 많이 나오는 SQL문과 프로그래밍 언어는 전부 맞는다는 생각으로 철저히 공부해야 한다
개정 전 문제도 나온 적이 있다니 기출은 3개년 정도 보는 게 좋다
언어 종류(json, xml, wsdl 등), 보안 문제(랜드어택, 스누핑 등), 신기술문제(데이터마이닝, 블록체인 등)도 출제자들이 좋아하는 유형 같으니 챙겨서 공부하시길

 내가 썼던 답(정답만 표기) 
1. RARP
2. X (DB 설계 절차)
3. WSDL
4. 기능적 비기능적
5. SKIDDP (파이썬 문제, 리스트 요소 문자열에서 앞글자만 프린트)
6. 1 (SQL, COUNT)
7. 3/1/45/50/90 전부 개행 (자바 문제, 이중 리스트) <- 수제비 카페 보니까 개행 못하신 분도 있더라 개행 문자 중요!
8. 비정규화
9. 경계 값 분석, 동등 분할 (블랙박스 테스트 종류)
10. X (테스트 종류)
11. 128, 8 <- 제일 어이없었던 문제; 곱하기 나누기만 할 수 있으면 맞을 수 있음
12. X
13. EAI
14. 5, 4 (카디널리티, 차수 구하는 문제)
15. Lee/38 개행 (C 구조체)
16. X (데이터 모델 구성요소)
17. X
18. 0+1+2+3+4+5=15 (자바 for문)
19. X (결합도 종류) <- 결합도 종류별 내용까지 외워야 할 줄이야 ;
20. X <- 하이재킹만 쓴 나 나가 죽어, 정답은 세션 하이재킹

 

 

6월 2일에 결과 나오면 합격 인증 하겠음 ~.~

 

 


+

 합격인증!! 

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