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AMBA
서로 다른 운영체제 간의 파일시스템 공유 기능이다.
SAMBA 데몬
1) SMBD
tcp 139번, 445번 포트 필요
2) NMBD
윈도우 기반의 시스템에서 SMB/CIFS프로토콜을 통해 요청한 NETBIOS이름 서비스에 대해 응답하는 데몬
udp 137번, 138번 포트 필요
3) WINDINDD
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마이크로소프트의 RPC, 리눅스의 인증모듈 PAM, NSS 를 이용해 윈도우 서버 시스템에 저장된 사용자 및 그룹 정보를 리눅스 시스템에 가져와서 마치 이 사용자들이 리눅스 시스템에 존재하는 사용자인 것처럼 인식 시키기 위한 데몬
master와 slave에 방화벽 포트 설정 해둘것!
1. SAMBA 설치
[root@master ~]# yum -y install samba samba-client samba-common samba-winbind
[root@master ~]# systemctl start smb nmb
2. SAMBA 로 공유할 폴더 생성
[root@master ~]# mkdir -p /samba/share
[root@master ~]# chmod 777/samba/share
3. 환경설정
/etc/samba/smb.conf
형관펜 친 부분을 글로벌에 추가해주세요
윈도우의 작업그룹이 WORKGROUP 이므로 설정을 변경해준다.
workgroup = WORKGROUP
hosts allow 는 로컬호스트와 리눅스 ip를 넣어줬다.
[global] - samba가 공통적으로 사용할 기본 설정 입니다.
- workgroup : 작업 그룹 명
- server string : 윈도우 네트워크에서 보여줄 samba서버에 대한 설명
- hosts allow : samba 서버에 접속을 허용할 ip
- security : 인증 방식 지정 (user, share, server, domain)
- user - 아이디 비번 을 입력하여 접속
- share - 인증 없이 접속
- server - 별도의 인증서버
- domain - 윈도우NT 계열의 도메인 컨트롤러
[share]
path = /samba/share
writable = yes
guest ok = yes
guest only = yes
create mode = 0777
directory mode = 0777
이제 개별적인 디렉토리를 SAMBA에 할당하기 위해 [share] 을 환경파일 하단에 추가해준다
(필자의 삼바 공유 폴더가 /samba/share 이므로 저렇게 설정한것임. )
[root@master ~]# systemctl restart smb nmb
설정 파일을 변경했으므로 리스타트
4. selinux 설정
[root@master ~]# setsebool -P samba_domain_controller on
[root@master ~]# setsebool -P samba_enable_home_dirs on
[root@master ~]# setsebool -P samba_export_all_rw on
[root@master ~]# chcon -t samba_share_t /samba/share
[root@master ~]# smbclient -L localhost
삼바 확인 명령어. root는 패스워드 지정 안했으니 그냥 엔터 누르면 됨.
리눅스->리눅스
centos slave
슬레이브 서버에서 똑같이 삼바 설치하고 루트에 있던 test.txt 파일을 share 폴더에 올려보겠다
삼바에서 넣는명령어 put, 빼는명령어 get
[root@node1 ~]# yum -y install samba samba-client samba-common samba-winbind
[root@node1 ~]# smbclient //192.168.111.10/share
Enter SAMBA\root's password:
Anonymous login successful Try "help" to get a list of possible commands.
smb: \> put test.txt
putting file test.txt as \test.txt (0.7 kb/s) (average 0.7 kb/s)
centos master 에서 확인해보면 /samba/share 폴더에 777권한으로 test.txt 가 생겼다!!
* 사실 파일 공유는 samba 보다 scp 명령어를 사용하는게 훨씬 간편하다 ㅋㅋ
scp [옵션] [파일명 1] [파일명 2] [원격지_id]@[원격지_ip]:[받는 위치]
scp test.txt root@192.168.111.10:/samba/share
윈도우->리눅스
윈도우+R 키 누르고 \\master ip를 쓴다
share 폴더가 나왔다!!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entOS8] nginx 웹서버(1) - 구축, php설정 (0) | 2021.05.05 |
---|---|
[CentOS8] 보조 DNS 서버 구축 (0) | 2021.02.09 |
[CentOS8] ssh 원격접속 명령어 사용법 (비밀번호사용, 전자서명) (0) | 2021.02.02 |
[CentOS8] DNS 보안을 위한 TSIG (0) | 2021.02.01 |
[CentOS8] DNS 구축을 위한 BIND 설치 (0) | 2021.02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