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Jen'_'
Jen's Space
Email
GitHub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98)
    • Ansible (4)
      • 우아한앤서블 (4)
    • Cloud (19)
      • AWS (17)
      • GCP (2)
    • DevOps (40)
      • Docker (6)
      • Kubernetes (26)
      • CICD (6)
      • Terraform (2)
    • Language (13)
      • Python (12)
      • Node.js (1)
    • Linux (10)
    • etc. (7)
    • 개인기록 (1)
    • AEWS (4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  • 피드백 환영합니다 :)

인기 글

태그

  • INGRESS
  • k8s
  • argocd
  • jenkins
  • 우아하게앤서블
  • AWS
  • ubuntu
  • autoscaling
  • Kubernetes
  • 쿠버네티스
  • Docker
  • ansible
  • EKS
  • CICD
  • gitops
  • vagrant
  • karpenter
  • terraform
  • 자격증
  • ALB

최근 댓글

Jen'_'

Jen's Space

[AWS] EC2에 EBS 추가하는 방법
Cloud/AWS

[AWS] EC2에 EBS 추가하는 방법

2021. 12. 13. 17:31
반응형

EBS 개념

  • EC2 인스턴스에 사용할 수 있는 블록 수준 스토리지 볼륨을 제공합니다.
  • EBS 볼륨은 형식이 지정되지 않은 원시 블록 디바이스처럼 동작합니다. 이러한 볼륨을 인스턴스에 디바이스로 마운트 할 수 있습니다.
  • 인스턴스에 연결된 EBS 볼륨은 스토리지 볼륨으로 표시되며, 인스턴스 수명에 관계없이 지속됩니다. 즉, 인스턴스가 종료되어도 보관할 수 있습니다.
  • 서버의 스토리지 개념입니다.
  • 주의할 점: 루트볼륨의 용량은 신중하게 생성해야 합니다. 한번 생성하고 나면 용량을 늘릴 수는 있지만 줄이는 것은 불가능합니다.

 

EC2에 EBS 추가하는 방법

1. EC2 > EBS > 볼륨 생성

원하는 용량의 볼륨을 생성합니다

2. EBS Attach

생성한 볼륨이 사용 가능 상태가 되면 해당 볼륨을 선택하고 작업 > 볼륨 연결에 들어갑니다.
루트 볼륨의 이름은 /dev/sda1 이므로 /dev/sdb 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. (루트볼륨의 이름은 AMI에 따라 다릅니다)

3. 연결 확인

파일 시스템 조회 명령어
$ lsblk

새로만든 EBS 볼륨이 잘 연결이 됐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4. 파일시스템 확인 및 포맷

루트볼륨의 파일시스템은 ext4입니다.
그러므로 연결한 볼륨 또한 같은 것으로 포맷하겠습니다.

$ sudo mkfs -t ext4 /dev/nvme1n1

 

5. 마운트

$ mkdir /backup
$ mount /dev/nvme1n1 /backup

마운트 걸 디렉터리를 생성하고 마운트 명령어를 입력합니다.
df -hT 를 하면 마운트 된 볼륨이 정상적으로 보입니다.
이제 새 볼륨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6. 영구적인 마운트

위 방법으로는 시스템 재시작 시에 다시 마운트를 해야 합니다. /etc/fstab 에 등록하면 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 됩니다.

디바이스이름      마운트위치      파일시스템      옵션       0 0

번외1. 마운트 해제 명령어

$ sudo umount [option] [device or directory]
ex) sudo umount /backup

번외2. EBS 용량 증설한 후 적용방법 (ext4)

루트 볼륨 증설
파디션 확장 명령어
$ sudo growpart /dev/nvme0n1 1
파일시스템 확장 명령어
$ sudo resize2fs /dev/nvme0n1p1

기타 볼륨 증설
$ sudo resize2fs /dev/nvme1n1
https://docs.aws.amazon.com/ko_kr/AWSEC2/latest/UserGuide/recognize-expanded-volume-linux.html#extend-file-system





참고
https://blog.itanoss.kr/ko/aws%EC%97%90%EC%84%9C-%ED%95%98%EB%93%9C%EB%94%94%EC%8A%A4%ED%81%AC-%EC%B6%94%EA%B0%80%ED%95%98%EA%B8%B0/
https://minjii-ya.tistory.com/27

반응형
저작자표시 (새창열림)

'Cloud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AWS EKS 비용 절감 방안 (인스턴스 비용 절감)  (0) 2023.06.04
[AWS] Application Migration Service(MGN) 고찰 + CloudEndure 차이점  (0) 2021.10.20
[AWS] RDS S3에서 복원 기능 버전 문제  (0) 2021.10.05
[AWS] Windows CloudWatch Agent 설치 방법  (2) 2021.08.19
[AWS] ALB와 NLB 사용 결정  (0) 2021.08.11
    'Cloud/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AWS EKS 비용 절감 방안 (인스턴스 비용 절감)
    • [AWS] Application Migration Service(MGN) 고찰 + CloudEndure 차이점
    • [AWS] RDS S3에서 복원 기능 버전 문제
    • [AWS] Windows CloudWatch Agent 설치 방법
    Jen'_'
    Jen'_'
    DevOps 엔지니어 Jen의 기술 블로그 / 이메일: jenakim47@gmail.com

    티스토리툴바